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및 사용 - FileZilla
리눅스 민트를 설치하고 PC를 윈도우 못지 않게 잘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 프로그램들을 하나 둘 설치해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저희 집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OSMC(Open Source Media Center, XBMC -> Kodi -> OSMC 순으로 버전 업 되었음) 를 설치하고 외장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의 파일들을 업로드해서 미디어서버이자 홈서버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는 전력도 3W 밖에 먹지 않기 때문에 (외장하드가 있으니 좀 더 먹을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자체의 소비전력은 3W 입니다.) 하루 종일 켜 두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디스크가 달려 있고 이것을 FTP 로 접속해서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물론 Samba 서버도 설치가 되어 있어서 굳이 FTP 프로그램 없이도 파일 업로드가 가능하지만 아무래도 FTP를 이용 하는게 안정성 면에서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용량이 적으면 상관 없지만 용량이 큰 파일을 업로드 하다가 중간에 에러가 나면 열 받거든요. FTP 클라이언트 설치를 알아보니 리눅스에도 윈도우 사용할 때 익숙했던 FileZilla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가 있네요. 다른 좋은 프로그램들도 많지만 저에게 익숙한 FileZilla 를 설치하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소프트웨어 관리자부터 시작 합니다. 물론 터미널에서 apt-get 같은 명령어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는 것이 리눅스에서는 좀 더 리눅스 다운(?) 방법 이겠지만 저는 이게 더 좋은거 같네요. ^^ FileZilla 를 검색하면 맨 위에 FIleZilla 가 나옵니다. 658건의 다운로드에 별 4개면 꽤 좋은 평가 같습니다.

설치 버튼을 눌러서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끝나고 메뉴를 눌러보면 인터넷 분류에 FileZilla 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실행해 봅니다.

위와 같이 저에게는 친숙한 UI 가 나타납니다. 파일 -> 사이트 관리자를 선택해서 FTP 사이트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물론 추가할 사이트는 저의 라즈베리파이 OSMC 서버 입니다.

사이트 관리자가 뜨면 '새 사이트' 를 눌러서 사이트를 추가해 줍니다,

OSMC 서버의 IP를 적고 프로토콜을 FTP로 선택해주고 User ID, Password 등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적 어줍니다. 모두 이상 없이 적었으면 '연결' 버튼을 눌러 줍니다.

위와 같이 OSMC 서버에 접속이 잘 되었습니다.

파일을 하나 업로드 해 보았습니다. 2~3MB/s 정도의 속도로 업로드가 잘 되네요.

팁을 하나 소개 하자면 위와 같이 사이트 관리자의 '고급' 탭에서 기본 로컬 디렉토리(업로드), 기존 리모트 디렉토리(서버측 디렉토리)를 지정해 두면 더욱 편리 합니다.
이상 리눅스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FileZilla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Last modified 1yr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