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oniKR 7.0
  • 하모니카 사용자 가이드
  • 목차
  • 설치하기
    • 하모니카 6.0에서 7.0으로 업그레이드
    • 하모니카에서 부팅 USB 제작
      • Ventoy 부팅 USB만들기
      • USB 이미지 라이터로 부팅 USB 만들기
    • 하모니카 설치
    • 윈도우와 하모니카 멀티부팅 설치
    • 기타 설치 관련 정보
  • 추천!! (Recommendation)
    • 한글문서 편집하기 (LibreofficeHWP)
    • Barrier
    • 애플릿(Sync)
    • 손쉬운 Git 관리.
      • RabbitVCS Git (Git 클라이언트)
      • BFG Repo-Cleaner
    •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warpinator)
    • Albert (데스크탑 검색 및 런처 )
    • 미디어 다운로더(mediaDownloader)
    • Asbru-cm (SSH-client)
    • 나만의 ISO 만들기(Systemback)
    •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Stacer)
    • 프린터 연결
      • 하모니카 프린터 설정 가이드
    • 커널 업그레이드 도구 mainline
  • AI로 나만의 이미지 생성
    • Upscayl (AI 이미지)
    • Stable-diffusion
      • 스테이블 디퓨전 학습 모델 추가하기
    • Microsoft Edge & Bing AI
  • Ubuntu에서 하모니카(Hamonikr)로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 방법
  • 주요 기능(Main Functions)
    • "환영합니다" 애플리케이션
      • 카카오톡(kakaotalk)
    • 바탕화면 주요 기능 및 도구(Desktop)
      • 데스크톱 사용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스타일 전환 기능(Desktop_Theme)
      • 모니터링 도구 Conky
      • 마우스 제스처를 지원하는 스마트 패널 기능
      • 하단 메뉴바(dock) Plank
      • HiDPI 디스플레이 설정
    • 파일 및 폴더 관리
      • 동영상 파일을 gif 이미지로 변환
      • 즐겨찾기 및 책갈피, 핀(bookmark)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 ISO 파일 - 체크섬
      • ISO 파일 - 마운트하기
      • 폴더 및 파일 비교
      • 유용한 이미지 관리
        • Convert-svg
      • 폴더 공유
      • 인코딩 깨진 파일명 복구
      • 파일 상세 검색
        • 마우스에서 상세검색
        • 파일 탐색기 창에서 상세 검색하기.
        • 여러개의 파일이름을 변경할때
    • 시스템 백업 및 복구 도구
      • fsarchive (GUI 사용법) - 메뉴얼 재작성
      • fsarchiver (터미널 사용법) - 메뉴얼 제작성
    • 부팅 USB 제작 도구
      • BalenaEcther - 부팅 USB 제작 도구
      • Ventoy - 부팅 USB 제작 도구
      • 쓰기 가능한 부팅 USB 제작 Live USB Creator
    • HamoniKR TUI(터미널)
      • hamonikr-ff (fzf and bat features)
      • 기본 터미널 Zsh 적용
      • Hamonikr-cli-tools
      • ncdu (disk usage analysis)
      • systemd-tui (systemd service management tui)
    • Game
      • 리그오브레전드(LOL) 설치
      • 배틀넷(battleNet) 설치
    • 부팅 메뉴 선택기 프로그램
      • 부팅 메뉴 선택기 boot-select
    • 백신(Ahnlab-v3lite)
      • 하모니카 OS 사용가능한 백신들
      • 하모니카에서 바이러스 백신 사용하기
  • 다양한 하모니카 활용팁
    • 하모니카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하기
    • 하모니카 CLI tools
      • icdiff (color diff)
      • jq (json parser)
      • D2Coding Regular font (Korean font)
      • remote-share-cli (easy file share to remote)
      • speedtest-cli (network speed benchmark)
      • w3m (terminal web browser)
      • mtr (traceroute)
      • network-manager nmtui (network setting tui)
      • mc (terminal file manager)
      • tldr (manual for command)
      • starship (mordern prompt for shell)
      • htop (process viewer)
      • glances (system monitoring tool)
      • lazydocker (TUI for both docker and docker-compose)
      • tmux (terminal multiplexer)
      • ttyd (Share terminal over the web)
      • aria2 (download utility - HTTP/HTTPS, FTP, SFTP, BitTorrent, Metalink)
      • asciinema (Record and share terminal sessions)
      • neofetch (show system infomation)
      • s-search (web-search-cli)
    • 하모니카 호환 SW 및 플랫폼
    • 하모니카 OS 포터블 리눅스 제작하는 법
    • 하모니카 리눅스 Teamviewer 원격관리
    • 하모니카 리눅스 텔레그램 메신져
    • 윈도우 PC 원격데스크톱 접속하기
    • 하모니카 PC 크롬 원격 데스크톱 접속 기능 사용하기
    •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게임하기
    • 하모니카 리눅스에서 flatpak 으로 프로그램 설치 하는 방법
    • 하모니카 리눅스 VPN 사용
    • 하모니카 PC 에서 네트워크 스캐너 사용하기
    • 속도 최적화 및 디스크 정리
    • VirtualBox 사용하기
    • 하모니카 커널 변경 방법
    • 하모니카 리눅스 원격 데스크탑 접속
    • 하모니카에서 폴더 암호화 사용
    • 하모니카에서 전자칠판 사용하기
    • 서버 모니터링 프로그램 bashtop
    • ffmpeg 사용법 - 동영상에서 음성추출하기, 동영상 변환
    • 동영상에서 자동으로 자막추출 Vrew
    • 음성파일 자르기 audacity
    • 클립보드 매니저 CopyQ
    • /target/에 'grub-efi-amd64-signed' 패키지를 설치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 USB에 설치된 하모니카로 크롬북처럼 사용하기
    • Github CLI 사용법
    • 하모니카에서 주민등록등본, 4대보험가입증명서 출력하기
    • 하모니카로 홈시어터를 구축하는 방법
    • 구글 크롬 설치
    • 유튜브, Vimeo 동영상 파일 저장하기 - ClipGrab
    •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및 사용 - FileZilla
    • 음악 플레이어 - Audacious (오데이셔스)
    • 토렌트 프로그램 추천 - qbittorrent
    • 스티커 메모 프로그램 Xpad
    • 여러개 ISO 파일을 담는 부팅 USB 제작 프로그램 Ventoy
    •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Genymotion
    • 데스크톱 원문 검색 프로그램 recoll
    • 음악 플레이어 Lollypop
    • 시스템 사용시간 모니터링 ActivityWatch
    • 로컬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도구 avahi
    • 자막 편집 프로그램 Subtitld
    • 파일명 일괄변경 프로그램 GPRename
    • z shell 매뉴얼
    • Motrix 매뉴얼
    • 로그 기록 프로그램 gnome-log(기록)
    • 문자 표
    • 웹 앱 (webapp-manager)
    • 가상 키보드 & 온보드(OnBoard)
    • Duck DNS 사용하기 (동적 DNS)
    • 개발 도움말
    • Poedit
    • BleachBit 불필요한 데이터 제거
    • 국내 오픈소스 개발자(@kuroehanako) 님의 아이콘 적용
    • 국내 오픈소스 개발자(@orioncactus) 님의 글꼴 적용
    • 한글 가사를 지원하는 뮤직 플레이어 롤리팝 제공
  • 시작 메뉴
    • 개발
      • Meld
      • Visual Studio Code
      • 글레이드
    • 게임
      • 고전게임(dosbox)
    • 보조 프로그램
      • balenaEtcher
      • Conky 설정도구, 온/오프
      • Shutter
      • SSH Client
      • USB 이미지 쓰기
      • USB 포맷
      • Ventoy 부팅 USB 제작
      • Vim
      • 가상 키보드(OnBoard)
      • 계산기
      • 기기간 파일전송 (Warpinator)
      • 글꼴
      • 노트
      • 문자 표
      • 부팅 메뉴 선택기(boot-select)
      • 스크린샷
      • 시계
      • 알집
      • 스티커 메모
      • 암호 및 키 관리
      • 압축 관리자
      • 터미널
      • 텍스트 편집기 (xed)
      • 파일
    • 오피스
      • LibreOffice
      • LibreOffice Base
      • LibreOffice Calc
      • LibreOffice Draw
      • LibreOffice impress
      • LibreOffice Math
      • LibreOffice Writer
      • MS 오피스
      • PDF 뷰어
      • 달력
      • 라이브러리
    • 음악과 비디오
      • IPTV 보기
      • Kazam
      • Kodi (코디)
      • OBS Studio
      • VLC 미디어 플레이어
      • 멀티미디어 코덱 설치
      • 뮤직 플레이어 롤리팝
      • 미디어 플레이어 (Celluloid)
    • 인터넷
      • Filezilla
      • Google Chrome
      • Naver Whale
      • Remmina
      • Slack
      • Thunderbird 메일
      • Zoom
      • 토렌트 클라이언트
      • 하모니카 드라이브
    • 관리
      • Htop
      • VirtualBox
      • 드라이버 매니저
      • 디스크
      • 디스크 사용량 분석
      • 로그 보기
      • 로그인 화면 설정
      • 백업 도구
      • 사용자와 그룹
      • 소프트웨어 매니저
      •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
      • 시스템 모니터링
      •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Stacer)
      • 시스템 보고서
      • 시스템 스냅샷 (Timeshift)
      • 업데이트 매니저
      • 저장소 및 키 관리
      • 커널 업그레이드
      • 프린터
      • 하드웨어 정보
      • 하모니카 도움말
      • 환영합니다
    • 기본 설정
      • Plank Dock 설정
      • 글꼴 선택
      • 기본 프로그램
      • 날짜 & 시간
      • 네트워크
      • 님프 설정
      • 데스크릿
      • 디스플레이
      • 마우스 휠 속도 설정
      • 마우스와 터치패드
      • 바탕화면
      • 방화벽 설정
      • 배경화면
      • 블루투스
      • 사용자 정보
      • 색상 관리
      • 소리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 시작 프로그램
      • 알림
      • 애플릿
      • 언어
      • 외부 서비스 연동
      • 일반
      • 입력기 설정
      • 작업 공간
      • 전원 관리
      • 창 배치
      • 창 설정
      • 키보드
      • 태블릿
      • 테마
      • 패널
      • 편리한 기능
      • 핫코너
      • 화면 보호기
      • 확장 프로그램
      • 효과
      • 히스토리
    • 그래픽
      • 그누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gimp)
      • 그림판 (drawing)
      • 이미지 뷰어 (Pix)
      • 잉크스케이프
  • 유용한 단축키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사용방법.
  •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사용하기
  1. 추천!! (Recommendation)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warpinator)

PreviousBFG Repo-CleanerNextAlbert (데스크탑 검색 및 런처 )

Last updated 1 year ago

"Warpinator"는 같은 로컬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들 간에 파일을 쉽게 전송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도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내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며, 복잡한 설정이나 공유 폴더 설정, FTP 서버, 또는 이메일 첨부 없이 파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Warpinator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GUI를 제공하여 파일 전송을 쉽게 만들어 줍니다.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Warpinator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사용방법.

Albert(alt + space)에서 "기기간 파일전송" 또는 프로그램 메뉴 > 보조프로그램 > 기기간 파일전송 실행.

- 파일을 전송할 컴퓨터와 전송받을 컴퓨터에서 실행합니다.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실행되면서 동일한 테트워크 상에서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이 실행된 컴퓨터를 찾은 후 목록을 보여줍니다.

기기간 파일전송 프로그램이 실행된 컴퓨터가 없는경우 나오는 화면입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기기간 컴퓨터를 실행해주세요.

중요!. 만약 해당 컴퓨터에 방화벽이 실행되고 있다면, 기기간 파일 전송(Warpinator) 창에서 "코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기간 파일 전송(Warpinator)의 기본 설정 창에서 하단의 방화벽 규칙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방화벽의 상태가 업데이트 됩니다.

  • 프로그램 메뉴 > 방화벽 상태 프로그램 실행.

  • 터미널에서 방화벽 상태 확인..

※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하시면 간편하게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기기간 파일 전송 프로그램 사용하기

두개의 컴퓨터에서 파일 전송 프로그램 사용하는 방법 예시입니다.

전송하실 컴퓨터에서 전송받을 컴퓨터를 더블 클릭합니다.

  • 전송하는 컴퓨터는 192.168.0.207 IP 사용.

  • 전송받는 컴퓨터는 192.168.0.212 IP 사용.

"파일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전송하실 파일을 찾아 선택합니다.

전송하는 컴퓨터에서는 "승인 대기 중"으로 표시가 되고.

전송받는 컴퓨터에서는 시스템 알림으로 파일을 전송 받거나 거절할 수 있습니다.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해당 파일의 위치는 "다운로드 > Warpinator"에 저장 됩니다.